미디어 이론 15

2부 ― 감각의 해체: 매클루언과 정보 시대의 인간

― 미디어는 메시지인가? 인간의 지각은 어떻게 붕괴되는가?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 인간의 감각과 자아 구조가 어떻게 해체되고 재배열되는지를 탐색한다. 토인비의 '영혼의 분열' 개념과의 접점을 통해, 현대적 자기성찰의 조건을 다시 묻는다.🧭 서론: 인간 감각의 무대가 바뀌었다마셜 매클루언은 말한다. “미디어는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 이 말은 단순히 매체의 형식이 내용을 결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그것은 더 나아가, 미디어가 인간 자체를 구조적으로 재배선한다는 선언이다. 시각에서 청각으로, 활자에서 이미지로, 타자에서 인터페이스로 바뀌는 이 감각의 혁명은 인간의 내면, 공동체, 사유 방식 전체를 다시 짠다.토인비가 말한 ‘영혼의 분열’이 사회적·영적..

하라리 2025.04.11

AI는 '미디어의 대장'인가? 🏆

🤖 AI와 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 📡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AI가 '미디어의 대장'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AI가 기존 미디어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인간의 인식을 어떻게 확장하는지 살펴본다. 1. 미디어는 메시지다 (The Medium is the Message)매클루언은 미디어의 내용(content)보다 형식(form)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AI는 기존 미디어(예: 인쇄,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등)와는 달리, 데이터 분석, 생성, 학습, 그리고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미디어이다. 즉, AI가 인간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 자체가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2. 인간 감각의 확장 (Extensions of Man)매클루언은 미디어를 인간 감각과 사고의 확장으로 보았..

미디어 2025.03.22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 독후감

1️⃣ 서론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의 『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1964년)는 현대 미디어 이론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저작이다. 이 책은 단순히 미디어의 발전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가 인간의 감각과 사회적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미디어는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개념을 통해 미디어의 형식이 그 내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독후감에서는 매클루언의 주요 개념을 분석하고, 그의 이론이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2️⃣ 『미디어의 이해』의 핵심 개념 📖 🔹 2.1. 미디어는 메시지다..

미디어 2025.03.22

"소심한 거인, TV : 정보 홍수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 텔레비전의 변신, 알고리즘과 데이터 시대의 뉴 미디어 -1964년, 마셜 매클루언은 『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에서 텔레비전을 "소심한 거인(Timid Giant)"이라 표현했다.텔레비전은 단순한 오락 매체가 아니다. 마셜 매클루언이 말한 ‘소심한 거인’ TV는 알고 보면 가장 강력한 설계자일지도 모른다. 유튜브, 넷플릭스, AI 추천 알고리즘까지, 텔레비전의 진화와 현대 사회에서의 역할을 탐구한다.🎥 1. 텔레비전, 소심한 거인인가?텔레비전은 20세기 최고의 미디어 혁명 중 하나였다. 하지만 매클루언은 이를 "소심한 거인(Timid Giant)"이라 불렀다. 왜냐하면 텔레비전은 엄청난 영향력을 가졌지만, 본질적으로 수동적인 미디어이기 때문이다. 📺 텔레비전의 핵심 특징..

미디어 2025.03.21

"릴의 세계에서 스트리밍까지 : 영화는 우리를 어떻게 길들이는가?"

영화는 단순한 오락일까, 아니면 현실을 재구성하는 강력한 미디어일까? 🎥 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의 본질, 감각의 변화, 그리고 현대 스트리밍 시대까지 영화가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본다. 🎞️ 1. 영화란 무엇인가? 현실인가, 환상인가?영화는 단순한 스토리텔링 도구가 아니다. 매클루언은 영화를 "뜨거운 미디어(Hot Media)"라고 규정했다. 정보량이 많고, 감각적으로 몰입을 유도하는 강력한 미디어이기 때문이다.📽️ 릴(Reel)의 세계영화는 개별적인 정지 이미지(프레임)를 빠르게 재생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우리는 이를 실제 현실처럼 받아들이지만, 이는 단순한 조작된 시각적 효과일 뿐이다. 🎬 몽타주의 힘 : 의미의 재구성영화는 연속적이지 않은 이미지들을 조합..

미디어 2025.03.21

전신(電信) : 사회적 호르몬인 미디어

Telegraph Social Hormone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의 이해』(1964년)에서 다룬 전신(telegraph)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고, 전신이 어떻게 인간의 신경계를 확장하고, 정치, 경제, 미디어 환경을 변화시켰는지 알아본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3%88%EB%AE%A4%EC%96%BC_%EB%AA%A8%EC%8A%A4* 1844년 새뮤얼 모스,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의 전신용 회선 개설   1858년 대서양 횡단 해저 케이블   1861년 미국 대륙 횡단 전신용 회선 완성 1. 서론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은 전신(telegraph)을 단순한 통신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유기체를 조율하는 "사회적 호르몬"으로 규정한다. 이는 ..

미디어 2025.03.21

만화 '매드'에서 텔레비전까지 - 미디어 변천과 문화적 의미

만화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다! 마셜 매클루언이 분석한 만화와 미디어의 관계를 통해, '매드' 매거진, 텔레비전, 그리고 현대 디지털 미디어까지 이어지는 변화 과정을 살펴본다. 미디어 환경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보자! 🚀1. 서 : 만화 '매드', 그리고 미디어의 진화만화는 단순한 대중 오락을 넘어, 인간의 인식과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중요한 미디어로 자리 잡았다. 마셜 매클루언은 만화를 "시각적 텔레비전의 전 단계"로 설명하며, 만화가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미디어 환경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았다. 특히, 만화의 단순한 선과 강한 대비는 인쇄 매체에서 시각적 표현을 극대화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만화는 사회적 메시지를 담는 강력한 미디어로 작용했으며, 이는 텔레비전과 인터넷 시대에..

미디어 2025.03.20

인쇄된 말 : 내셔널리즘의 건축가

인쇄된 말은 어떻게 내셔널리즘을 형성했으며, 현대 디지털 시대에는 그 역할이 어떻게 변화했을까? 마셜 매클루언의 이론을 바탕으로 국민국가 형성 과정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분석한 글입니다.  1. 서 : 인쇄술과 내셔널리즘의 관계 인쇄술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적 혁신이 아니라, 국가와 국민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미디어 이론가 마셜 매클루언은 인쇄 매체가 현대 사회를 어떻게 조직하고 변화시키는지를 분석하며, 특히 인쇄된 말(Printed Word)이 내셔널리즘을 만들어낸 핵심 요소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본 글에서는 인쇄된 말이 어떻게 내셔널리즘을 형성했으며, 현대 디지털 시대에는 이러한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인쇄된 말과 국민국가의 탄생..

미디어 2025.03.20

인쇄술,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

인쇄술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인간 사고방식과 사회 구조를 변화시킨 강력한 미디어였다. 마셜 매클루언의 이론(1964년)을 바탕으로 인쇄술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시대에서의 의미를 살펴본다. 서 : 인쇄술, 단순한 기술이 아닌 사회적 변혁의 도구인류 역사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 중 하나인 인쇄술은 단순히 책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넘어,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 구조를 변화시킨 거대한 미디어 혁명이었다. 마셜 매클루언은 미디어를 단순한 전달 도구가 아닌, 인간 감각과 사고의 확장을 이루는 요소로 보았다. 그의 이론을 통해 인쇄술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시대에서 인쇄술이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1. 인쇄술 이전과 이후: 정보 저장과 과학 발전1.1 목..

미디어 2025.03.20

디지털 화폐 시대 : 머니, 그 이상의 의미

마셜 매클루언의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화폐의 본질과 현대 사회적 의미를 살펴본다. 특히 ‘가난한 자의 신용카드’라는 비유를 통해 화폐가 갖는 사회적 역할과 디지털 시대의 변화를 알아본다.60여년 전인 1964년에 그는 “미디어가 메시지이다”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단순히 내용 전달의 도구를 넘어, 미디어 자체가 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 구조를 근본적으로 형성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화폐’를 하나의 미디어로 간주하고, “가난한 자의 신용카드”라는 비유를 중심으로 화폐의 다층적인 의미와 현대 사회에서의 중요성을 그의 이론적 틀 안에서 살펴본다. 1. 머니의 진화 : 인간 능력의 확장과 교환의 추상화 그는 모든 미디어를 인간 능력의 확장으로 이해하였다. 화폐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예외가 아니다. 화폐는 ..

미디어 2025.03.19